모려(牡蠣)·석화(石花)·여합(蠣蛤)·모합(牡蛤)·여(蠣)...모두 굴의 한자 이름이다.

이중 우리 선조 들은 굴을 이야기 할 때 '돌에 핀 꽃'이라 해서 석화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

그런가하면 돌이나 너럭바위에 붙어사는 자연산 굴을 보통 ‘어리굴’이라 불렀다.

석화보다 친근감이 있다. '어리굴젓'도 그래서 생겨났다.

'어리'는 '작다'는 뜻의 순 우리말이다. 작지만 영양은 타 어패류와 비교 불가인 것이 굴이다.

특히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만드는 데 쓰이는 특별한 아미노산과 '아연'이 넘쳐난다.

아연과 남성의 상관관계는 의학계를 통해 일찍이 알려진 바와 같이 생육번성의 필수 요소다.

서양에서는 이를 증명하듯 굴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다. ‘굴을 먹어라, 그럼 더 오래 사랑 하리라(Eat oyster, love ㅣonger)’

그런가 하면 카사노바를 위시해 전쟁터에서도 굴만큼은 꼭 챙겨 먹었다는 나폴레옹, 고대 로마황제들 그리고 수많은 남성들의 원기를 돋구어 줬다는 야담(夜談)은 차고 넘치게 전해온다.

'날것'하면 손사레를 치는 서양에서 옛부터 굴만은 '생식'으로 즐긴 이유가 이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굴은 보통 9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나는 것을 제철 음식으로 친다.

요즘이야 양식이 보편화돼 사시사철 즐기지만 과거에는 그랬다.

서양인들이 기준으로 삼는 것은 월을 지칭하는 영문표기에 알파벳 ‘R’이 들어가는 달에 굴을 먹어야 제 맛이라는 논리다.

봄에서 여름까지는 산란기여서 독성이 많아 그런 것이다.

일찍부터 즐겨 먹어온 우리의 굴 식용 역사도 매우 오래됐다.

국내 소재 선사시대의 패총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 것 중 하나가 굴 껍질일 정도다.

동국여지승람에도 강원도를 제외한 7도 70고을의 토산물로 기록돼 있다, 이것만으로도 우리 선조들의 굴사랑을 알 수 있다.

요즘 굴이 제철이다. 덩달아 남해안 청정지역에서 굴 채취도 한창이다.

건강의 보고(寶庫)로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알싸한 굴맛, 그 생각에 침이 고이지만 아쉽게 시장 진열대 굴에 선뜻 손이 안간다.

지난해 대비 20%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힌남노·난마돌 등 태풍으로 양식장이 피해를 입으면서 생산량이 줄고 김장철 수요마저 늘어난 결과라고 한다.

13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고공 행진중인 굴값. 그 속에서 굴 호식가(好食家)들의 아쉬움 섞인 한숨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