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은 기원전 2000년대에 이집트인들이 재배해 먹었을 정도로 역사가 유구하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고려 때로 추정된다.

허균의 도문대작에 “고려를 배신하고 몽골에 귀화하여 고려 사람을 괴롭힌 홍다구(洪茶丘)가 처음으로 개성에다 수박을 심었다”고 적고 있어서다.

조선시대엔 수박을 ‘서과(西瓜)’라고 불렀다.

서쪽에서 온 오이 혹은 참외라는 뜻이다.

그 때도 귀하고 맛있긴 마찬가지였다.

귀한 수박이지만 여름철 성균관 유생들에게 지급했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 윤기의 시문집에 나온다.

“성균관 유생들에게 초복에는 개고기 한 접시, 중복에는 참외 두 개, 말복에는 수박 한 개를 준다”

과일로서 보편화된 현대에도 수박은 귀한 대접을 받았다.

예찬론도 수없이 많다.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수박을 가리켜 “세상 모든 사치품의 으뜸이며, 한 번 맛을 보면 천사들이 무엇을 먹고 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며 사랑의 시인 칠레의 파블로 네루다는 “물의 보석상자, 과일가게의 냉정한 여왕, 여름의 초록고래”라 했다.

그런가 하면 지금도  미국에선 수박을 치킨과 더불어 빈민층들의 양대 ‘소울푸드’라 부른다.

이런 수박은 여름철 빼놓을 수 없는 인기 과일이다.

하지만 겉과 속이 다른 형태 때문에 곧잘 불명예스런 풍자에도 오른다.

한국전쟁 전후에는 숨어있는 공산주의자를 겉은 초록인데 속은 빨간 모습에 빗대 수박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정치적 속어로 등장, 시비거리가 되기도 했다.

민주당내 계파간 특정인을 지지하는 정치인을 비난할 때 자주 써서 그렇다.

때문에 최근 ‘되는 집안은 가지나무에 수박이 열린다’는 속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반대여서  수박에 대한 세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다.

이런 수박이 요즘은 가격 때문에 '귀하신 수박'으로 다시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웬만한 크기의 수박 한 통이 지난해보다  21% 상승해서다.

3만원이 훌쩍넘어 10년만에 최고라 한다.

인건비와 운송비가 올랐고 거기에  지난해 발생한 ‘꿀벌 집단 폐사’ 사태가 불러온 결과라는 분석이다.

수박은 꿀벌을 이용해 수분((受粉)하는 대표적인 농작물인데 화분(花粉)이 옮겨지지 않아 착과가 적었다는 것이다.

지금은 흔한 과일이지만 조선 초기만 해도 수박 한 통 값이 쌀 다섯 말이었다고 한다.

약 40㎏의 쌀을 지금의 물가수준으로 치면  대략 15만원이 조금 넘는다.

과거 귀하던 시절보다 못하지만 서민들의 손이 선뜻 가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다.

하기야 수박 말고 어느 물가 하나 안 오르는 것이 없지만, 더위를 이기는 풍류마저 비싸져 서글프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