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름지기 조직의 장이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자질과 조건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으뜸은 세상 돌아가는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안목이라 할 것이다.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 구성원들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난관을 헤쳐 나아갈 수 있는 분석력이 요구된다.

그러기에 조직의 장은 “왜 이런 변화가 올까?” “과연 이런 변화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앞으로 어떤 변화가 불어올까?”를 끊임없이 자문해 봄으로써 시장 흐름의 숨겨진 의미를 찾고, 시장흐름의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예측하고 시도해야 한다.

조직의 장, 리더에 관한 수많은 책과 보고서 등이 발간되어 이야기되는 가운데에서 뜬금없이 “세상 돌아가는 흐름을 꿰뚫는 안목”을 거론하는 이유는 현재 지방정부의 경영전략의 패러다임이나 방법론에서 이러한 경향이 일부 지방정부에서 두드러지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현재 각 지방정부는 공유경제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앞다퉈 공유경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인근의 안양시는 최근 지역경제→공유경제 전환을 선언하면서 경기도에서 선점적 지위 우위를 노리고 있다. 안양시는 공유경제 동참 기관에 대해 행정적 유인책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공유단체로 선정한 비영리법인인 ‘사랑나누미’ 는 카페 공간을 지역주민들 간담회장으로 제공하고 커피 바리스타 교육도 무상으로 진행하기로 했으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엔브레인’은 치매 예방에 도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특히 치매가 의심되거나 환자를 돌보는 가정에는 매우 유용할 전망이라고 기사는 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 부산시와 경상남도는 공유경제 기반 확산을 위한 공유기업 지정 공모를 시행하여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의 특성을 살려 가치와 재능의 공유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조성하는 공유경제의 바람이 거세다.

위와 같은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일반인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공유경제란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은 자산이나 정보를 빌려주고 대가를 받는 것을 뜻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자신이 소유한 물품이나 무형자원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거나, 필요한 만큼 차용하여 사용하는 인터넷,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모델이라 할 수 있다.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런스 레식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된 말로,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방식이다.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어 쓰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거창군의 남는 식자재 나누는 '지구에 덜 미안한 밥상' 추진이다.

이처럼 공유경제에 대한 각 지방정부의 정책은 새로운 경영전략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공유경제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지방정부의 경제를 헤쳐나가고,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이기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몇몇 지방정부의 사례는 자신들의 경영자원과 능력을 미리 준비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필자는 받아들이고 있다. 필자가 공유경제를 강조하는 이유는 ICT 기술 및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SNS 및 스마트폰, 앱스토어 등 플랫폼 기반 서비스의 성장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공간적 제약 없이 연결이 가능해졌고, 비즈니스 모델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우리 일상에서 자신의 경험을 타인과 공유하는 공유경제가 깊숙이 자리매김 하는 현상을 보더라도, 지방정부의 공유경제로의 전환은 거슬릴 수 없는 시장의 흐름이다. 물론 공유경제가 지방정부 안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신뢰를 쌓아야 한다는 것과 법률 같은 문제가 있기는 하다.

이제 지방선거가 1여 년 남짓 남았다. 당선의 기쁨과 함께 재선을 위해 수많은 정책 속에서 불철주야 마음고생 하였던 지방정부의 장들에게 얼마 남지 않은 재임 동안 어려운 경제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서 공유경제에 대해 고민을 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